본문으로 바로가기

신종 랜섬웨어 바이러스 예방 및 치료방법

category 유용한정보 2017. 5. 14. 18:24

신종 랜섬웨어 바이러스 예방 및 치료방법


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워나크라이(WannaCry, Wanna Cryptor) 랜섬웨어 공격이 

지난 주말(12~13일) 한국에서 2000건 이상 탐지된 것으로 확인된 것으로 나타난다고 합니다~ 


12일(금요일) 유럽과 아시아를 비롯한 약 100개국에서 발생한 사상 최대 

사이버공격에서 전 세계가 복구 작업에 매달리고 있는 신종 랜섬웨어 바이러스

보안업체 어베스트는 사이버 공격으로 인한 피해는 정부기관이나 

병원, 기업 등의 업무 마비로 인한 피해 등 7만5000건이 넘는다고 발표했습니다 



랜섬웨어는 중요파일을 암호화한 뒤 이를 푸는 대가로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 프로그램이랍니다. 

이번 랜섬웨어는 네트워크를 통해 유포되는 워너크립트(WannaCrypt), 일명 워너크라이(WannaCry)의 변종


<랜섬웨어 바이러스 감영 컴퓨터 바탕화면>


랜섬웨어 ‘워너크라이(WannaCry)’의 변종이 한국에서도 발견되고 있는데요~

워너크라이는 윈도 운영체제에서 취약점 보완 업데이트 패치를 적용하지 않은 PC로 전파 돼 

컴퓨터 내부의 다양한 문서, 압축파일, 사진 및 동영상, 프로그램 등을 암호화해 사용 못하도록 만들어버립니다

워너크라이를 배포한 해커 집단은 암호화된 파일을 푸는 대가로 

600달러(약 한화 68만원) 상당의 비트코인(가상화폐)을 요구하고 있다고 하네요~


<랜섬웨어 감염으로 인한 300달러 비트코인 금액을 요구하는 팝업창>


워너크라이의 위력은 특별한 첨부 파일이나 홈페이지에 접속하지 

않더라도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으면 감염되는 방식으로 빠른 속도로 전파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워너크라이 공격은 전 세계적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번 워너크라이 감염 사례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영국, 대만 등에 많이 목격됐고 

미국, 한국, 일본에서도 발견되고 있다고 합니다



러시아 정부는 최소 1,000대의 컴퓨터가 워너크라이에 전염됐고 

이동통신사 ‘메가폰’에도 공격이 가해졌다고 발표했다. 영국에서는 국민보건서비스(NHS) 

산하 병원들이 집중 공격당해 병원 업무가 마비돼 진료에 차질을 빚고 있다고 합니다~



랜섬웨어 바이러스 최소화 및 예방방법

운영체제를 항상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

백신 프로그램 설치 와 최신 업데이트 유지

불법 프로그램 다운로드 하지 않음

검증되지 않는 해외 사이트 방문하지 않기

중요한 파일은 수시로 별도 저장매체에 보관

(예, USB메모리, 외장하드 등)


신종 랜섬웨어 바이러스로 부터 안전하게 

컴퓨터를 지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예방이 최우선이랍니다~


<무료 백신프로그램 설치하기>



포털 사이트 '네이버 자료실' 키워드 검색 후 

네이버 소프트웨어 공식 사이트 주소를 클릭~



좌측 메뉴에서 카테고리 > PC 관리/보안 > 백신 순으로 선택!

알약, V3, 네이버 백신 등 다양한 무료백신 중 하나 선택해서 다운로드 후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설치 후 최신 백신 업데이트 상태로 유지 하시고

필요하다면 컴퓨터 바이러스 검사를 진행하시길 바래요^^


<MS 운영체제 최신 보안 업데이트 패치하기>


▶ MS 윈도 운영체제 업데이트 카탈로그 사이트

http://www.catalog.update.microsoft.com/Search.aspx?q=KB4012598



윈도우 PC(XP, 7,8, 10 등) 또는 서버(2003, 2008 등)에 대한 최신 보안 업데이트 진행

MS에서 긴급 보안패치 발표한 패치파일을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는 걸 선택해서

다운로드 후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제어판을 통해서 최신 보안 업데이트 패치 파일

시간이 되신다면 운영체제 업데이트 설치를 진행하세요~






시작 > 제어판 > 자동 업데이트 실행 후 

'업데이트 자동 설치(권장)'으로 항상 최신 상태를 유지 하시길 바랍니다~


KISA가 운영하는 보안 전문 사이트 보호나라 (http://www.boho.or.kr)에서는 

이번 랜섬웨어의 감염 피해 예방을 위해 우선 PC 네트워크를 차단한 후 파일 공유 기능을 해제하고, 

백신과 윈도 최신 보안 업데이트를 진행한 뒤 악성코드 검사를 수행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고 합니다